FAQ

게시판

[송무호의 비건뉴스] 77. 현미와 비소, 왜 문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조회 1회 작성일 25-05-02 05:51

본문

[송무호의 비건뉴스] 77. 현미와 비소, 왜 문제 [송무호의 비건뉴스] 77. 현미와 비소, 왜 문제가 됐나?[사진=클립아트코리아]최근 각종 방송 및 신문에 "현미에는 발암물질인 '중금속 비소'가 백미보다 많이 검출되니 조심하라"는 기사가 많이 나왔다. 현미밥을 건강식으로 알고 있던 분들이 크게 우려하기 시작했다 [1, 2].그런데 비소(arsenic)는 중금속(heavy metal)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해 금속과 비금속 사이의 특성을 가진 붕소, 규소, 셀레늄과 같은 '준(準)금속'(metalloid) [3].토양과 지하수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데, 크게 유기 비소와 무기 비소로 나뉜다. 유기 비소는 인체에서 빠르게 배출돼 문제가 안 되지만, 농약이나 살충제에 들어있는 무기 비소는 많은 양을 섭취하거나 오랜 기간 축적되면 발암 위험이 있다.쌀은 자라면서 뿌리를 통해 토양에 존재하는 비소를 흡수한다. 비소는 지역에 따라 불균질하게 땅속에 분포되어 있어 농약과 비료 사용, 산업 오염 등으로 오염된 지역에서 난 쌀에는 비소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 세계 경작지의 약 15%가 비소, 카드뮴, 납 등 한 종류 이상의 독성 중금속에 심각하게 오염됐다는 보고도 있다 [4].토양의 중금속 오염은 제거가 어렵기에 수십 년 이상 지속된다. 그래서 오염된 지역에서 난 농작물은 일부 중금속을 포함하기에 체내로 유입되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그런데, 토양에서 흡수된 비소는 쌀의 안쪽보다는 바깥층인 쌀겨(bran)에 더 많이 축적된다. 백미는 정제 과정을 거치며 쌀겨를 제거하기에 비소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다.최근 논란의 원인은?최근(2025년 2월) 미시간 주립대의 미국산 쌀 연구 결과, 백미보다 현미의 비소 함량이 더 높게 나왔다. 이때, 현미의 무기 비소 함량은 0.138µg/kg으로 백미(0.093µg/kg)보다 48.4% 더 높았다 [5].쌀의 비소 함량은 지리적 위치, 즉 어디에서 생산하느냐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다. 미국 내에서도 최대 6~7배, 국가 간에는 최대 40배까지 차이가 난다 [5].그렇다면, 한국산 쌀에 든 비소의 함량은 어느 정도일까? 201[송무호의 비건뉴스] 77. 현미와 비소, 왜 문제가 됐나?[사진=클립아트코리아]최근 각종 방송 및 신문에 "현미에는 발암물질인 '중금속 비소'가 백미보다 많이 검출되니 조심하라"는 기사가 많이 나왔다. 현미밥을 건강식으로 알고 있던 분들이 크게 우려하기 시작했다 [1, 2].그런데 비소(arsenic)는 중금속(heavy metal)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해 금속과 비금속 사이의 특성을 가진 붕소, 규소, 셀레늄과 같은 '준(準)금속'(metalloid) [3].토양과 지하수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데, 크게 유기 비소와 무기 비소로 나뉜다. 유기 비소는 인체에서 빠르게 배출돼 문제가 안 되지만, 농약이나 살충제에 들어있는 무기 비소는 많은 양을 섭취하거나 오랜 기간 축적되면 발암 위험이 있다.쌀은 자라면서 뿌리를 통해 토양에 존재하는 비소를 흡수한다. 비소는 지역에 따라 불균질하게 땅속에 분포되어 있어 농약과 비료 사용, 산업 오염 등으로 오염된 지역에서 난 쌀에는 비소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 세계 경작지의 약 15%가 비소, 카드뮴, 납 등 한 종류 이상의 독성 중금속에 심각하게 오염됐다는 보고도 있다 [4].토양의 중금속 오염은 제거가 어렵기에 수십 년 이상 지속된다. 그래서 오염된 지역에서 난 농작물은 일부 중금속을 포함하기에 체내로 유입되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그런데, 토양에서 흡수된 비소는 쌀의 안쪽보다는 바깥층인 쌀겨(bran)에 더 많이 축적된다. 백미는 정제 과정을 거치며 쌀겨를 제거하기에 비소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다.최근 논란의 원인은?최근(2025년 2월) 미시간 주립대의 미국산 쌀 연구 결과, 백미보다 현미의 비소 함량이 더 높게 나왔다. 이때, 현미의 무기 비소 함량은 0.138µg/kg으로 백미(0.093µg/kg)보다 48.4% 더 높았다 [5].쌀의 비소 함량은 지리적 위치, 즉 어디에서 생산하느냐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다. 미국 내에서도 최대 6~7배, 국가 간에는 최대 40배까지 차이가 난다 [5].그렇다면, 한국산 쌀에 든 비소의 함량은 어느 정도일까? 2018년 국립농업과학원 연구에 의하면 현미와 백미의 무기 비소 평균 함량은 각각 0.11mg/kg과 0.07mg/kg이었다. 이들 함량은 세계보건기구(WHO)와 세계식량기구(FAO) 식품 기준 오염물질분과위원회(CCCF) 권장 기준인 현미 비소 함 [송무호의 비건뉴스] 77. 현미와 비소, 왜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