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Q

게시판

[앵커] 과테말라는 이른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조회 6회 작성일 25-04-06 05:33

본문

[앵커] 과테말라는 이른바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자리해 지진과 화산활동이 자주 발생합니다. 지난 2018년엔 푸에고 화산이 대폭발하며 사망자 200여 명에 달하기도 한 데다가, 지난달에도 화산 분출로 마을 주민 천여 명이 긴급 대피하는 상황도 있었는데요. 과테말라 정부는 화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김성우 리포터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희뿌연 화산재가 하늘로 치솟더니 시뻘건 용암이 분출합니다. 화산재 구름이 삽시간에 온 마을을 뒤덮고 자동차와 오토바이로 도망쳐보지만 역부족입니다. 지난 2018년, 40년 만에 푸에고 화산이 대폭발했을 당시 모습입니다. 당시 2백여 명이 사망한 참혹한 대폭발의 흔적은 지금도 주변 마을을 뒤덮고 있습니다. [룻 리바스 / 포르베니르 마을 주민 : (오요테 마을은) 모든 걸 잃었습니다, 가 보시면 알겠지만, 폐허가 돼가는 빈집들만 덩그러니 있을 뿐이죠.] 수도 과테말라시티에서 남서쪽으로 50km 떨어진 푸에고 화산은 중미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는 화산으로 꼽힙니다. 지난달에도 7년 만에 분화가 시작해 주민 천여 명이 긴급 대피하기도 했을 정돕니다. [프란시스코 게라 / 포르베니르 마을 주민 : 이젠 화산 활동이 격화되면 주민들이 대피를 잘하는 데, 예전 폭발의 공포감 때문일 겁니다.] 푸에고 화산이 언제 다시 분출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주민 약 13만 명이 영향권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 과테말라 기상청은 24시간 화산 감시 활동을 하면서 재난대책본부와 지자체와의 연락망을 긴밀히 이루고 있습니다. 아울러 화산 폭발이 지진과도 관련된 만큼 지자체들은 주민을 대상으로 화산 분화 시 대응 요령을 교육하고 수시로 경보 체계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세르히오 곤잘레스 / 알로테난고 군수 : 제가 군수로서 주민들에게 말씀드리는 점은 사후 조치가 아닌 대피 등 예방적 대응만이 인명 피해를 막는 최선책이라는 것입니다.]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아예 막을 순 없겠지만, 과테말라 사람들은 예방적 대응을 통해 자연과 함께 살아가는 법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과테말라에서 YTN 월드 김성우입니다. YTN 김성우 (khj87@ytn.co.kr)※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 윤석열 전 대통령이 2024년 1월 2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4 증권·파생상품시장 개장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소식에 자본시장업계와 투자자들은 어느 때보다 기대감을 감추지 않는 분위기다. 윤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주식 저평가) 해소를 위해 추진해 왔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제 역할을 못한 데다 시장의 오랜 '숙원'인 상법 개정안이 다시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금융시장에 참여하는 인구가 과거보다 크게 늘어난 만큼 대선 후보들도 증시 활성화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밸류업', 주주 친화적 방향으로 재추진" 전망윤 정부는 핵심 금융 정책으로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하면서 기업에 기업 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할 것을 독려해 왔다. 한국 주식이 장기간 저평가된 만큼 기업 스스로 주주 친화적인 모습으로 변모할 것을 기대했다. 이를 위해 밸류업 지수와 밸류업 상장지수펀드(ETF)도 출시했다.하지만 헌법재판소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파면 결정을 내리면서 밸류업 프로그램의 동력은 완전히 상실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민주당에선 밸류업 인센티브로 정부가 추진한 법인세 세액공제,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을 부자 감세로 보고 반대해왔다.다만 정권 교체가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밸류업과 유사한 자본시장 선진화 방안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준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민주당에서도 '부스트업'이란 정책을 내놓으면서 자본시장 선진화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며 "밸류업과 가고자 하는 방향은 비슷한데 조금 더 주주 쪽에 서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상법 개정안 등 자본시장 개혁 공약 나올 것"개인투자자가 강력히 주장해 왔던 상법 개정안은 빠른 시일 내 재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상법 개정안은 더불어민주당이 당론으로 추진하며 국회 본회의까지 통과했으나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좌초된 바 있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윤 정부가 밸류업을 추진했다지만 상법 개정안 거부권을 행사한 것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