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단백질 구조 변화더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양자컴·디지털트윈·나노의료혁신 이끌 기술 주목저속노화·건강한 나이듦노화의 패러다임 달라져생물학적 수명 연장 넘어노화도 설계 가능한 시대게티이미지뱅크올 들어 노화 속도를 최대한 늦추고 건강하게 나이 드는 '슬로 에이징(Slow Ag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직 우리는 식단과 운동을 챙기는 수준이지만, 여기에 인공지능(AI)·양자컴퓨터 등 첨단 기술이 맞물리면 노화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바뀔 수 있다. 노화는 더 이상 두려움과 거부의 대상이 아니다. 노화에 대한 개입과 제어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며 우리는 이제 자신의 노화를 주도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이 책은 두 의사와 한 마케팅 전문가가 함께 썼다. 노화 연구 40년의 박상철 교수와 국내 최초 스마트병원을 기획한 권순용 교수, 정보기술(IT) 산업 전략을 이끌어온 강시철 박사가 공동 저자다. 의학적으로 AI와 바이오 기술이 노화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뿐 아니라 산업적으로 해당 기술의 선도 기업과 기술의 윤리적 과제까지 균형 잡힌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노화 과정에 혁신의 바람을 불어넣은 것은 AI와 바이오 기술의 융합이다. 2024년 공동으로 노벨 화학상을 받은 데이비드 베이커, 데미스 허사비스, 존 점퍼는 AI 기반 단백질 구조 예측 기술로 생명과학의 지평을 넓혔다. 이들은 AI를 활용해 단백질 구조를 정밀하게 예측하는 알파폴드를 개발했다. 이를 통해 단백질 설계와 신약 개발 등 다양한 생명과학 분야에서 혁신적 성과를 거뒀다.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박상철·권순용·강시철 지음매일경제신문사 펴냄, 2만1000원AI 기술이 발전하면서 단백질 연구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지고 있다. 특히 단백질 구조 변화는 노화 과정, 생명 유지 메커니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AI 덕분에 과거 몇 년씩 걸리던 엑스선 결정학이나 핵자기공명(NMR)분광기 분석 대신 알파폴드 같은 AI 기술로 빠르고 정확하게 단백질 구조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연구자들은 예전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노화와 생명 현상을 탐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AI와 함께 의료 혁신을 이끌 기술로 양자컴퓨터, 디지털 트윈, 나노 분야가 주목받는다. 앞으로 20년 이내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면 기존인간의 단백질 구조 변화더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양자컴·디지털트윈·나노의료혁신 이끌 기술 주목저속노화·건강한 나이듦노화의 패러다임 달라져생물학적 수명 연장 넘어노화도 설계 가능한 시대게티이미지뱅크올 들어 노화 속도를 최대한 늦추고 건강하게 나이 드는 '슬로 에이징(Slow Ag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아직 우리는 식단과 운동을 챙기는 수준이지만, 여기에 인공지능(AI)·양자컴퓨터 등 첨단 기술이 맞물리면 노화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바뀔 수 있다. 노화는 더 이상 두려움과 거부의 대상이 아니다. 노화에 대한 개입과 제어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며 우리는 이제 자신의 노화를 주도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이 책은 두 의사와 한 마케팅 전문가가 함께 썼다. 노화 연구 40년의 박상철 교수와 국내 최초 스마트병원을 기획한 권순용 교수, 정보기술(IT) 산업 전략을 이끌어온 강시철 박사가 공동 저자다. 의학적으로 AI와 바이오 기술이 노화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뿐 아니라 산업적으로 해당 기술의 선도 기업과 기술의 윤리적 과제까지 균형 잡힌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노화 과정에 혁신의 바람을 불어넣은 것은 AI와 바이오 기술의 융합이다. 2024년 공동으로 노벨 화학상을 받은 데이비드 베이커, 데미스 허사비스, 존 점퍼는 AI 기반 단백질 구조 예측 기술로 생명과학의 지평을 넓혔다. 이들은 AI를 활용해 단백질 구조를 정밀하게 예측하는 알파폴드를 개발했다. 이를 통해 단백질 설계와 신약 개발 등 다양한 생명과학 분야에서 혁신적 성과를 거뒀다.노화도 설계하는 시대가 온다박상철·권순용·강시철 지음매일경제신문사 펴냄, 2만1000원AI 기술이 발전하면서 단백질 연구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지고 있다. 특히 단백질 구조 변화는 노화 과정, 생명 유지 메커니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AI 덕분에 과거 몇 년씩 걸리던 엑스선 결정학이나 핵자기공명(NMR)분광기 분석 대신 알파폴드 같은 AI 기술로 빠르고 정확하게 단백질 구조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연구자들은 예전보다 훨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