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Q

게시판

[앵커]미국발 관세 폭풍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조회 1회 작성일 25-04-07 21:17

본문

[앵커]미국발 관세 폭풍이 다시 한번 금융시장을 강타했습니다.공포가 급격히 확산한 검은 월요일, 블랙 먼데이였습니다.코스피와 코스닥이 5% 넘게 폭락했고, 원달러환율은 33원이나 급등했습니다.첫 소식, 송수진 기자입니다.[리포트]코스피는 개장과 함께 2,400선이 깨졌습니다.2,350대로 출발해 하락 폭을 키웠습니다.오전 9시 12분부터 5분간 매도 호가를 정지시키는 '사이드카'가 발동됐지만, 급락세를 돌려세우진 못했습니다.SK하이닉스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10% 가깝게 떨어졌고, 삼성전자, 현대차 등도 코스피 지수 정도 떨어졌습니다.종가는 2,328포인트. 지난주 금요일보다 137포인트, 5.5% 넘게 빠졌습니다.지난해 8월 5일 234포인트에 이어, 역대 두 번째 하락 폭입니다.지난해 8월도 오늘(7일)도 모두 월요일.8달 만에 '블랙먼데이'가 되풀이된 셈입니다.코스닥도 5.2% 폭락했습니다.지난주 미국 증시의 연이은 폭락에도 비교적 선방했던 흐름이 급격히 얼어붙었습니다.[주원/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 "토요일 새벽에 뉴욕 증시가 마감됐거든요. 월요일 우리 장이 열리면서 지금 영향을 미치는 거죠. 오늘 밤에 뉴욕 증시가 또 크게 하락하면 이제 (상승) 장은 없어요."]외국인이 역대 다섯 번째인 2조 9백억여 원어치 순매도했습니다.이른바 '공포 지수'로 불리는 V-코스피 지수.하루 만에 65% 급등하며, '패닉' 구간에 접어들었습니다.원화 가치도 주가만큼 출렁했습니다.탄핵 선고일인 지난 4일 1달러에 1,434원까지 내렸지만, 오늘 1,467원으로 33원 올랐습니다.하루 변동 폭으로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컸습니다.KBS 뉴스 송수진입니다. 촬영기자:김철호/영상편집:김철/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송수진 기자 (reportersong@gmail.com) [뉴스데스크]◀ 앵커 ▶우원식 국회의장이 조기대선과 개헌 국민 투표를 동시에 실시하자고 제안한 데 대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내란 종식이 먼저"라며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다만,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과 비상계엄 요건을 강화하는 내용이라면 개헌을 수용할 뜻이 있다고 했는데요.김지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선일에 맞춰 개헌 국민투표를 하자'는 우원식 국회의장의 제안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개헌 필요성엔 공감하지만 "지금은 내란 종식이 먼저"라는 겁니다. 대신 우선 순위를 두고 대선 전에 가능한 개헌을 콕 집어 말했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5·18 정신, 그리고 계엄 요건 강화 정도는 국민투표법이 개정이 돼서 현실적으로 개헌이 가능하다면 곧바로 처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대통령 4년 중임제 같은 권력구조 개편은 국론 분열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대선 후로 미루자는 겁니다.조국혁신당 역시 "내란종식이 먼저"라면서 "개헌 국민투표는 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실시하는 게 현실적"이라고 밝혔습니다.비명계에선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내란 종식이 먼저라는 데 동의한다며 이재명 대표의 제안은 개헌 추진 가능성을 열어둔 의미 있는 발언이라고 평가했습니다.하지만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표가 개헌에 미온적이라며 공세를 폈습니다. "대통령직에 가장 근접한 사람이 개헌을 거부한다", "제왕적 대통령제뿐 아니라 제왕적 국회를 견제하자"는 주장까지 나왔습니다.[권영세/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1987년 개헌 당시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제왕적 국회의 출현입니다. 대통령의 권한만큼이나 국회의 권한도 균형 있게 조정해야 합니다."국민의힘에서는 한동훈 전 대표가 임기를 3년으로 줄이겠다며 가장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고, 안철수 의원은 대통령과 국회 권한을 축소하는 개헌을 내년 지방선거에서 하자는 입장입니다.여야 지도부는 물론 대선주자들까지 모두 개헌을 이야기하지만, 그 내용과 방식은 서로 딴 판인 셈입니다.우 의장은 "정당 간 합의한 만큼만 개헌하면 된다"는 입장이지만, 두 달도 남지 않은 대선일까지 정치권에서 일치된 결과물을 내놓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