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Q

게시판

'역수에는 스산하게 물결이 일렁이고…'"하북성 역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조회 3회 작성일 25-04-22 09:31

본문

'역수에는 스산하게 물결이 일렁이고…'"하북성 역수 남족 남북조시대에는 전성기 구가 고구려 영토"진시황을 암살하기 위해 역수를 건너 진나라로 갔던 형가의 동상.중국지도, 연나라와 조나라가 역수를 경계로 남북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다.남북조시대를 대표하는 시인 왕포의 동상.◆중국 남북조시대 대표적인 문인 왕포왕포(약 513~576)는 남북조시대에 남조의 양(梁)나라에서 태어났다. 전반기는 양나라에서 보냈고 후반기는 북조의 북주(北周)에서 활동하며 여러 중요 관직을 역임했다.양무제(梁武帝) 소연(蕭衍·464~549)은 그의 문학적 자질을 높이 평가하여 자기의 질녀를 왕포에게 시집보냈고 남창현후(南昌縣侯)에 봉하기도 하였다. 양원제 때는 이부상서(吏部尙書), 우복야(右僕射)에 올랐다.서기 554년 서위(西魏)의 군대가 양나라의 수도 강릉(江陵·지금의 형주시)을 공격하여 함락시킨 뒤 왕포를 북조로 끌고 갔다. 그후 남조로 다시 돌아오지 못했는데 왕포는 북조에서 매우 융숭한 대우를 받으며 지냈다.북주의 명제(明帝)는 항상 왕포, 유신(庾信) 등과 함께 연회를 즐기고 명소를 유람하면서 시를 짓고 문학을 논했다.북주의 무제(武帝) 보정(保定) 연간에는 내사(內史) 중대부(中大夫)에 발탁되어 국정 운영에 깊히 관여했고 뒤에 태자소부(太子少傅), 소사공(小司空) 등을 역임하였다.왕포는 북주 무제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며 조정의 중요한 문건들은 그의 손을 거쳐서 작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만년에는 선주자사(宣州刺史)로 나갔다가 임지에서 64세에 서거하였다.왕포는 남북조시대에 유신과 쌍벽을 이룬 대표적인 문인으로서 '수서(隋書)' 경적지에 의하면 21권의 저서를 남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다만 지금은 왕포의 원래 문집은 유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뒤에 명나라 때 그의 유문을 수집하여 편간한 '왕사공집(王司空集)'이 전할 뿐이다.여기에는 시가(詩歌) 40여 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도하북(渡河北), 관산월(關山月), 연가행(燕歌行) 등이 유명하다. '고구려(高句麗)'라는 제목으로 쓴 시도 그 중의 하나이다.왕포의 시는 북조의 북주에서 활동하며 지은 작품이 대부'역수에는 스산하게 물결이 일렁이고…'"하북성 역수 남족 남북조시대에는 전성기 구가 고구려 영토"진시황을 암살하기 위해 역수를 건너 진나라로 갔던 형가의 동상.중국지도, 연나라와 조나라가 역수를 경계로 남북에 위치한 것을 볼 수 있다.남북조시대를 대표하는 시인 왕포의 동상.◆중국 남북조시대 대표적인 문인 왕포왕포(약 513~576)는 남북조시대에 남조의 양(梁)나라에서 태어났다. 전반기는 양나라에서 보냈고 후반기는 북조의 북주(北周)에서 활동하며 여러 중요 관직을 역임했다.양무제(梁武帝) 소연(蕭衍·464~549)은 그의 문학적 자질을 높이 평가하여 자기의 질녀를 왕포에게 시집보냈고 남창현후(南昌縣侯)에 봉하기도 하였다. 양원제 때는 이부상서(吏部尙書), 우복야(右僕射)에 올랐다.서기 554년 서위(西魏)의 군대가 양나라의 수도 강릉(江陵·지금의 형주시)을 공격하여 함락시킨 뒤 왕포를 북조로 끌고 갔다. 그후 남조로 다시 돌아오지 못했는데 왕포는 북조에서 매우 융숭한 대우를 받으며 지냈다.북주의 명제(明帝)는 항상 왕포, 유신(庾信) 등과 함께 연회를 즐기고 명소를 유람하면서 시를 짓고 문학을 논했다.북주의 무제(武帝) 보정(保定) 연간에는 내사(內史) 중대부(中大夫)에 발탁되어 국정 운영에 깊히 관여했고 뒤에 태자소부(太子少傅), 소사공(小司空) 등을 역임하였다.왕포는 북주 무제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며 조정의 중요한 문건들은 그의 손을 거쳐서 작성되는 경우가 많았다. 만년에는 선주자사(宣州刺史)로 나갔다가 임지에서 64세에 서거하였다.왕포는 남북조시대에 유신과 쌍벽을 이룬 대표적인 문인으로서 '수서(隋書)' 경적지에 의하면 21권의 저서를 남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다만 지금은 왕포의 원래 문집은 유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뒤에 명나라 때 그의 유문을 수집하여 편간한 '왕사공집(王司空集)'이 전할 뿐이다.여기에는 시가(詩歌) 40여 수가 수록되어 있는데 도하북(渡河北), 관산월(關山月), 연가행(燕歌行) 등이 유명하다. '고구려(高句麗)'라는 제목으로 쓴 시도 그 중의 하나이다.왕포의 시는 북조의 북주에서 활동하며 지은 작품이 대부분이다. 북방에서 나그네 생활을 하면서 고국을 그리워하는 마음, 북방 변경의 풍경과 전쟁상황 등이 담겨 있다.◆왕포의 시 '고구려'왕포가 '고구려'라는 제목으로 쓴 시는 내용상으로 볼 때 그가 젊은 시절 남조에 머무르던 시기에 쓴 작품이 아닌가 여겨진다.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고구려역수에는 스산하게 물결이 일렁이고,연나라 조나라의 가인들이 많구나